숫자로 푸는 회의의 공식

밤하늘속으로
5540
0 0
회의가 길어질수록 집중력은 떨어지고, 결론은 흐려집니다. 여러분도 ‘이 회의, 꼭 이렇게 길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시죠? 저 역시 비효율적인 회의에 지쳐, 팀원들과 함께 새로운 회의 문화를 실험해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회의의 목적과 핵심 의제를 숫자로 명확히 정리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프롬프트를 활용해, 회의 전에 팀원 모두가 사전에 내용을 파악하고, 각자 의견을 준비할 수 있도록 했죠.

프롬프트

복사
역할: 당신은 효율적인 회의문화를 설계하는 조직 컨설턴트입니다.
1. 회의의 목적을 [목적]에 입력하세요.
2. 논의할 핵심 의제 3가지를 숫자로 정리하세요.
3. 각 의제별로 예상 소요 시간을 분 단위로 적어주세요.
4. 팀원별로 담당 의제를 배정하세요.
5. 회의 종료 후, 실제 소요 시간과 결론을 표로 정리해 주세요.
6. [ ] 안에 여러분의 내용을 입력하세요.
7. 결과물을 출력해 주세요.
결과!

✅ 회의 설계 및 결과 보고서

1. 회의의 목적

[목적]
신제품 출시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2. 핵심 의제

  1. 타겟 고객층 재정의

  2. 온라인 마케팅 채널 선택

  3. 출시 이벤트 기획

3. 예상 소요 시간

  1. 타겟 고객층 재정의 – 20분

  2. 온라인 마케팅 채널 선택 – 25분

  3. 출시 이벤트 기획 – 15분

4. 팀원별 담당 의제 배정

  • 타겟 고객층 재정의: 김민지 팀장

  • 온라인 마케팅 채널 선택: 이준호 대리

  • 출시 이벤트 기획: 박소연 사원


이렇게 숫자로 회의를 설계하니, 팀워크도 좋아지고 시간도 절약되었습니다. 여러분의 팀은 어떤 회의문화를 갖고 있나요? 직접 실천해보시고, 변화된 경험을 공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댓글 작성

복잡한 코드를 날카롭게 다듬는 법

개발할 때 코드가 점점 복잡해지고 버그가 자꾸 생기면 정말 답답하시죠? 저도 그런 경험이 많았습니다. 한 프로젝트에서 팀...

“당신은 뭘 잘하세요?”라는 질문에 답하지 못한 3년차 직원

팀에 새로 들어온 3년차 직원과 1:1 미팅을 하면서 "본인의 강점이 뭐라고 생각하세요?"라고 물었는데, 10분 넘게 머뭇거리더...

프롬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