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GPT를 그냥 ‘답변기계’로만 쓰고 있다면, 이제는 시선을 조금 달리할 때입니다.
우리는 최근, ChatGPT를 공동 저자로 활용한 콘텐츠 제작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단순한 툴이 아닌 파트너, 협업자, 감정 보완가로 GPT를 대우했을 때 어떤 결과물이 나올 수 있는지 궁금했거든요.
🎯 실험 배경
질문: “AI는 인간의 감성을 채울 수 있을까?”
목표: “GPT를 공동 저자로 설정하고, 인간과 AI의 역할을 나눠 콘텐츠를 제작해본다.”
👥 협업 방식 요약
-
사람이 아이디어와 논리 구조를 설계
-
GPT가 감정, 리듬, 표현을 강화
-
사람이 피드백 → GPT가 재해석 & 수정 제안
-
최종본에 GPT를 공동 저자로 명시
📘 실제 결과물 사례
-
뉴스레터 콘텐츠 (조회수 +37%)
-
브랜드 철학 문서 (고객 피드백: “말투에 온기가 있다.”)
-
브런치 에세이 (이탈률 감소 + 체류시간 증가)
GPT와 협업한 글은 확실히 '설명 이상의 감정선'이 살아 있었습니다.
사람이 놓친 여운을 AI가 잡아주는 순간도 꽤 많았죠.-
1. 역할 정의 및 목표 설정
프롬프트
복사
당신은 지금부터 나의 공동 저자입니다.
우리는 함께 콘텐츠를 작성하며, 나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감성, 구조, 리듬, 전개를 보완해 나갈 것입니다.
목표는 ‘인간의 감성과 AI의 논리를 융합한 고품질 창작물’입니다.
각 문단의 목적과 감정을 명확히 해석하고, 독자의 몰입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작성해주세요.
2. 구성 짜기: 아이디어 → 목차 → 전개 흐름
프롬프트
복사
[STEP 1] 내가 제시하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목차를 구성해줘.
- 논리적 흐름과 감정의 기승전결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짜줘.
- 각 섹션마다 핵심 메시지를 1문장으로 정리해줘.
[STEP 2] 목차를 기반으로 각 섹션별 초안을 작성해줘.
- 단락마다 독자의 감정을 유도하는 장치를 추가해줘 (질문, 은유, 대조 등)
3. 감정 디테일 & 표현 확장
프롬프트
복사
지금부터 너는 '감정 디자이너'야.
내가 준 초안에 다음 3가지를 반영해서 다시 써줘:
1. 감정 밀도 강화 (예: '좋았다' → '벅찼다', '무뎠다' → '말라 있었다')
2. 독자의 머리에 그려지도록 이미지화된 묘사
3. 각 문단 마지막에 독자에게 던지는 여운 또는 질문
결과물은 다소 과장돼도 괜찮아. 독자가 ‘느낄 수 있게’ 써줘.
4. 상호 피드백 루프
프롬프트
복사
내가 너에게 피드백을 주면, 그걸 단순 반영하지 말고,
"이유를 기반으로 재해석 + 반영 방향 제시" 후, 수정한 버전을 제안해줘.
즉, 내가 '여기 약해 보여'라고 하면
-> '감정이 이완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일부러 낮췄습니다. 그래도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버전 A는 보완, B는 유지입니다.'
이런 식으로 공동 창작자답게 대화하며 결과물을 다듬는 방식으로 가자.
5. 최종 리뷰 & 퍼블리싱 전 검수
프롬프트
복사
이 글의 톤앤매너, 메시지 명확성, 서사 흐름, 몰입도, 감정선이 충분한지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검토해줘.
누가, 어디에서, 언제, 왜 이 글을 읽을지 시뮬레이션하고 최종 수정안을 제시해줘.
💬 마무리
우리는 지금, AI와 인간이 대화하며 콘텐츠를 완성해가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ChatGPT는 '빠르게 쓰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함께 ‘더 잘 쓰기’ 위한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좋아요
3
아주 좋아요
좋아요
조금 좋아요
댓글
0
댓글 작성
상상만 했던 나만의 만화 캐릭터, 어떻게 생명을 불어넣었을까?
오랫동안 머릿속에만 있던 만화 캐릭터들을 실제로 그려내고 싶었지만, 미술 실력이 부족해 늘 망설였어요. 스케치북에 끄적...
서버 설정도 코드처럼? 인프라 코드화 혁명!
혹시 새로운 환경에 서버를 구축할 때마다 똑같은 설정을 반복하면서 '아, 이거 언제까지 수작업으로 해야 하나?' 하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