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 배경
우리는 흔히 기획할 때, 다음 순서를 밟습니다.
-
아이디어 수집
-
기회 분석
-
유사사례 조사
-
실행계획 수립
-
리스크 예측
하지만 이 전체 과정을 혼자 하기엔 너무 버겁고, 빠지기 쉬운 함정도 많죠.
그래서 GPT에게 단순 요약이나 아이디어 생성이 아닌,
"전략기획실장"이라는 타이틀을 주고 함께 고민해보기로 했습니다.
🧠 실험 구조
단계 | 인간 역할 | GPT 역할 |
---|---|---|
1. 문제 정의 | 감(느낌)을 전달 | 문제 재정의, 구조화 |
2. 시장 분석 | 관찰 정보 제공 | 트렌드 및 리서치 기반 정리 |
3. 전략 방향 | 상상력 제시 | 프레임 및 방향성 확장 |
4. 실행계획 | 경험 기반 제안 | 체크리스트 기반 실행안 제시 |
5. 위험 요소 | 직관적 우려 공유 | 시나리오별 리스크 분해 |
1. 역할 선언 & 설정
프롬프트
복사
너는 지금부터 내 프로젝트 전략기획실장이야.
내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시장 분석, 경쟁자 포지셔닝, 실행 계획 수립, 리스크 요인까지 전반적인 기획을 함께 해줘.
비즈니스 마인드, 구조적 사고, 현실성 있는 제안에 집중해줘.
2. 구조화 질문 프롬프트
프롬프트
복사
내가 말하는 내용을 ‘문제 → 기회 → 행동 → 결과 예상’ 구조로 재정의해줘.
그 과정에서 놓친 부분이 있으면 질문해줘.
필요한 경우,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시각화해줘 (예: SWOT, STP, 4P 등)
3. 시장/경쟁 분석 요청
프롬프트
복사
이 아이디어가 속하는 시장/분야에 대해 트렌드를 정리해줘.
- 현재 주요 흐름은 어떤가?
- 어떤 유형의 경쟁자가 존재하는가?
- 사용자 페르소나는 누구이며, 무엇을 원하는가?
4. 실행계획 구조화 요청
프롬프트
복사
이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줘.
- 단계별 예상 소요 시간
- 핵심 자원과 역할
- 리스크 요인과 대응책 포함
5. 시나리오별 위험 요소 & 기회 분석
프롬프트
복사
이 기획이 실패할 수 있는 시나리오 3가지를 제시해줘.
각 시나리오별 원인, 조기 경고 지표, 사전 대응 전략도 함께 정리해줘.
그리고 반대로 성공할 경우 얻게 될 핵심 기회도 정리해줘.
💬 실험 후기
GPT를 전략기획실장처럼 활용하면 놀라운 점은 **“상상력의 프레임화”**가 된다는 점입니다.
막연했던 아이디어가 '이건 해볼 만한데?' 하는 구체적인 실행안으로 정리되기 시작하죠.
특히 혼자 일하는 창업자, 크리에이터, PM, 프리랜서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전략기획, 보고서, 제안서, 브랜딩까지 혼자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뇌의 확장을 체감할 수 있어요.
좋아요
15
아주 좋아요
좋아요
조금 좋아요
댓글
0
댓글 작성
왜 우리 부서만 항상 예산 초과일까?
팀장이 된 첫 해, 정말 당황스러운 일이 있었어요. 연말 결산에서 우리 부서가 예산을 30%나 초과했다는 걸 알게 된 거죠. "...
시간은 금! 집중력으로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법
여러분, 하루 24시간이 모자라다고 느끼신 적 있으신가요? 저도 늘 바쁜 일정 속에서 중요한 업무와 급한 업무를 구분하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