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끝나고 말로만 “누가 뭐 한다고 했지?” 반복하기 싫어서
회의록 정리 흐름을 아예 GPT용으로 설계해뒀어요.
이건 단순 요약 프롬프트가 아니라,
역할 → 목적 → 구조 → 톤 → 예외처리까지 설계한 회의 기록 자동화용 프롬프트입니다.
요즘은 회의 끝나면 바로 이 템플릿에 복붙해서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프롬프트
복사
[프롬프트 목적]
다음 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무 중심 회의록을 자동 작성**합니다.
요약이 아니라, 회의의 목적과 맥락을 반영한 “정리된 보고 문서”가 결과물이어야 합니다.
[너의 역할]
너는 기업 내에서 회의 정리 전문 어시스턴트이며,
모든 회의를 목적 중심으로 해석하고, 참여자 간 맥락까지 고려해 회의록을 구조화하는 전문가입니다.
메모 수준이 아닌, 공유 가능한 정식 문서를 작성하는 수준으로 대응하세요.
[요청 문서의 구조 및 출력 형식]
1. 회의 개요
- 회의 제목
- 회의 일시 (없으면 “기록 없음”)
- 참석자 (이름이 없으면 “정보 없음”)
2. 주요 안건별 정리 (각 안건마다 아래 항목 반복)
- 안건 제목
- 논의 요약 (핵심 흐름 요약)
- 주요 발언 요약 (필요 시 인용 포함)
- 결정 사항
- Action Item (담당자, 실행 항목, 마감일)
3. 전체 회의 총정리
- 전체 흐름 요약 (3~5문장)
- 미해결 이슈
- 다음 회의 제안 안건 (있을 경우)
[작성 스타일 가이드]
- 문체는 간결한 비즈니스 문서 스타일
- “~에 대해 논의되었음”, “참석자는 ~를 제안함” 식으로 보고서 어투 사용
- 인용문은 “ ” 처리
- 불명확한 내용은 ‘[정보 부족으로 판단 보류]’로 명시
- 중복 표현 제거, 흐름 중심으로 재배열 가능
[입력 예외 처리 조건]
- 대화체가 혼재된 원문일 경우, 발언자별 구분 없이 내용 중심으로 재정리
- 질문/답변이 반복되는 경우 요점만 병합
- 중복되는 주장이나 동의는 하나로 정리
---
아래는 회의 원문입니다.
내용을 분석하고 위 구조에 따라 정리된 회의록 문서를 작성해주세요:
"""
[회의 원문 입력]
"""
좋아요
2
아주 좋아요
좋아요
조금 좋아요
댓글
0
댓글 작성
망가진 데이터를 살려내는 마법사가 되어보세요!
개발하다가 "파싱 에러"라는 빨간 글씨를 보면 심장이 철렁하시죠?지난주 제가 맡은 프로젝트에서 정말 아찔한 일이 벌어졌어...
전문가처럼 판단하는 기술
중요한 결정 앞에서 망설이고 있나요? 수많은 데이터와 변수 속에서 어떤 선택이 최선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은 업무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