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시장이 빠르게 변할 때는, 한 가지 전략만으론 불안할 때가 많아요. 저희 회사도 새로운 사업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미리 그려보고 싶었죠. 그래서 이번엔 GPT와 함께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해 전략기획을 해봤습니다.
먼저, 사업 목표와 예상되는 외부 변수(시장 변화, 경쟁사 동향 등)를 정리해서 GPT에게 전달하고,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와 대응 전략을 요청했어요.
프롬프트
복사
// "사업 목표와 외부 변수를 참고해서, 3가지 미래 시나리오를 만들어줘."
// "각 시나리오별로 예상되는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정리해줘."
// "상황별로 취해야 할 전략적 대응 방안을 제안해줘."
// "시나리오 플래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팁을 알려줘."
// "팀원들과 논의할 때 도움이 되는 시각화 자료도 추천해줘."
결과!!
🧭 [가정한 사업 배경 예시]
-
사업 목표: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 및 동남아 진출 (3년 내 매출 2배 성장)
-
외부 변수:
-
소비 심리 변화
-
원자재 및 유통 비용 상승
-
경쟁사의 가격 파괴 전략
-
기술 트렌드 (AI/자동화)
-
정부의 ESG/탄소규제 강화
-
📘 1. 미래 시나리오 3가지
시나리오 | 개요 | 리스크 | 기회 |
---|---|---|---|
A. 고성장 & 기술 가속 시나리오 | AI·자동화 도입 확산, 소비 심리 회복, 해외 시장 진입 성공 | 빠른 기술 변화로 인한 대응 부담, 인재 확보 경쟁 | 기술 리더십 확보, 브랜드 혁신 이미지 구축 |
B. 비용 압박 & 내수 정체 시나리오 | 원가 상승 지속, 내수 소비 위축, 유통망 경직 | 마진 하락, 고객 이탈, 고정비 부담 | 운영 효율화 계기, 프리미엄 포지셔닝 시도 |
C. 규제 강화 & 지속가능성 요구 시나리오 | ESG 기준 강화, 친환경 요구 확대, 투자 심리 보수화 | 공급망 재편 부담, 친환경 설비 투자비 증가 | ESG 브랜드 선도, 글로벌 투자자 관심 확보 |
🛡️ 2. 시나리오별 전략적 대응 방안
시나리오 | 전략 |
---|---|
A. 고성장 & 기술 가속 | |
✅ AI 기반 고객 분석 → 초개인화 마케팅 | |
✅ R&D 투자 확대 + 기술 제휴 | |
✅ 핵심 인재 유치 위한 브랜딩 강화 |
| B. 비용 압박 & 내수 정체 |
✅ 제품군 단순화 + 수익 중심 구조 재정비
✅ 저비용 고효율 유통 채널 확장 (D2C 등)
✅ 충성고객 중심의 멤버십 운영
✅ 제품군 단순화 + 수익 중심 구조 재정비
✅ 저비용 고효율 유통 채널 확장 (D2C 등)
✅ 충성고객 중심의 멤버십 운영
| C. 규제 강화 & 지속가능성 요구 |
✅ ESG 리포트 정기 발간
✅ 친환경 소재 전환 + 탄소 절감 목표 설정
✅ '가치소비' 공략 브랜드 캠페인 전개
✅ ESG 리포트 정기 발간
✅ 친환경 소재 전환 + 탄소 절감 목표 설정
✅ '가치소비' 공략 브랜드 캠페인 전개
💡 3. 시나리오 플래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팁
-
3~4개의 극단적/다양한 시나리오로 설정하되, 현실 가능성은 고려
-
팀원별 역할에 맞춘 영향 분석: 예) 마케팅팀, 재무팀, 운영팀 시나리오별 과제 분배
-
정기적 리뷰: 분기별 시나리오 업데이트 → 빠른 방향 전환 대비
-
워크숍 형태로 공유: “이 시나리오가 현실이 되면 우리 회사는 어떻게 될까?” 질문 유도
-
의사결정 전 필수 고려자료로 활용: 전략 회의 시 활용 체크리스트 포함
📊 4. 팀 논의 시 활용 가능한 시각화 자료 추천
자료 형태 | 목적 | 툴 추천 |
---|---|---|
시나리오 매트릭스 | 변수 대비 전략 시각화 (ex. 기술 수준 vs 소비 회복) | Miro, Figma, Notion |
전략 우선순위 매핑 | 각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요약 | Lucidchart, Canva |
리스크-기회 매트릭스 | 시나리오별 위협/기회 비교 | PowerPoint SmartArt, Excel |
타임라인 기반 대응 플랜 | 시점별 우선 전략 정리 | Notion Timeline, ClickUp |
워드클라우드 or 이슈맵 | 팀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결과 정리 | Mentimeter, FigJam |
GPT가 제안한 시나리오와 전략을 바탕으로, 팀원들과 다양한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었어요. 그 결과,
예기치 못한 변수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됐고, 전략기획이 한층 더 체계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여러분은 전략을 세울 때 미래 예측이나 시나리오 플래닝을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실전 경험이나 조언이 있다면 함께 나눠주세요!
좋아요
0
아주 좋아요
좋아요
조금 좋아요
댓글
0
댓글 작성
평범한 하루, 예술이 되다
여러분은 일상 속에서 영감을 받은 적 있으신가요? 저는 어느 날, 평범한 출근길에 문득 떠오른 감정이 시 한 편이 되어버린 ...
유튜브 조회수 10개에서 100만으로! 평범한 일상이 콘텐츠가 되다
첫 번째 영상을 올렸을 때 조회수가 딱 10개였어요. 그것도 가족들이 억지로 봐준 거였죠. "역시 나는 재미없는 사람이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