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처음부터 직접 짜려면 은근히 복잡하잖아요.
JWT를 활용하면서도 보안까지 고려하려면?
아래처럼 프롬프트를 활용하면 백엔드-프론트엔드 연동까지 깔끔하게 구현 가능해요!
디자인은 각자 입맛대로 입히면 되고, 기본 틀부터 같이 만들어봐요
JWT를 활용하면서도 보안까지 고려하려면?
아래처럼 프롬프트를 활용하면 백엔드-프론트엔드 연동까지 깔끔하게 구현 가능해요!
디자인은 각자 입맛대로 입히면 되고, 기본 틀부터 같이 만들어봐요
프롬프트
복사
넌 Next.js 13 이상(App Router 기반)을 활용한 모던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능숙한 시니어 풀스택 개발자야. 나는 현재 로그인 유지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데, 다음과 같은 조건과 환경을 바탕으로 완성도 높은 인증 로직을 구현하고 싶어. 아래 내용을 기반으로 전체 구조와 코드를 작성해줘.
[프로젝트 환경]
-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모두 Next.js App Router 기반
-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Next.js 내에서 동작 (API route 사용)
- TypeScript 사용
- 데이터베이스는 PostgreSQL (prisma ORM 사용)
- JWT는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모두 사용하며, access token은 httpOnly 쿠키에 저장
[기능 목표]
1. 로그인 기능
- 사용자가 이메일/비밀번호로 로그인 시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발급
- access token은 httpOnly 쿠키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 JS에서 접근 불가하게 함
- refresh token은 서버 DB에 저장 및 함께 쿠키에도 저장
- 비밀번호는 bcrypt로 암호화되어 검증됨
2. 로그인 상태 유지
- 사용자가 페이지 새로고침하거나 재방문해도 access token이 쿠키에 있으면 자동 로그인 처리
- access token이 만료되었을 경우 refresh token으로 access token 재발급
- refresh token의 유효성, 탈취 방지를 위한 보안 고려 포함
3. 서버사이드 렌더링에서의 인증 유지
- `getServerSideProps`나 App Router의 `server component`에서 쿠키를 파싱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 판단
- 유효하지 않은 토큰이면 로그인 페이지로 리디렉션 처리
4. 로그아웃 기능
-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모두 쿠키에서 제거
- DB에 저장된 refresh token도 삭제하여 재사용 차단
5. 보안 고려사항
- JWT 토큰은 서명(Sign) 알고리즘은 HS256 사용
좋아요
1
아주 좋아요
좋아요
조금 좋아요
댓글
0
댓글 작성
브랜드의 첫인상, 로고를 직접 만들면서 느낀 변화는?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서, 팀만의 로고가 필요해졌어요. 디자이너가 따로 없어서 직접 만들어야 했는데, ...
행복 지수를 높이는 숨겨진 자산들
여러분은 부자가 되면 행복해질 거라 생각하시나요? 프린스턴 경제학자들의 놀라운 연구에 따르면, 소득이 일정 수준(연간 약...